문제
14889번: 스타트와 링크
예제 2의 경우에 (1, 3, 6), (2, 4, 5)로 팀을 나누면 되고, 예제 3의 경우에는 (1, 2, 4, 5), (3, 6, 7, 8)로 팀을 나누면 된다.
www.acmicpc.net
오늘은 스타트링크에 다니는 사람들이 모여서 축구를 해보려고 한다. 축구는 평일 오후에 하고 의무 참석도 아니다. 축구를 하기 위해 모인 사람은 총 N명이고 신기하게도 N은 짝수이다. 이제 N/2명으로 이루어진 스타트 팀과 링크 팀으로 사람들을 나눠야 한다.
BOJ를 운영하는 회사 답게 사람에게 번호를 1부터 N까지로 배정했고, 아래와 같은 능력치를 조사했다. 능력치 Sij는 i번 사람과 j번 사람이 같은 팀에 속했을 때, 팀에 더해지는 능력치이다. 팀의 능력치는 팀에 속한 모든 쌍의 능력치 Sij의 합이다. Sij는 Sji와 다를 수도 있으며, i번 사람과 j번 사람이 같은 팀에 속했을 때, 팀에 더해지는 능력치는 Sij와 Sji이다.
N=4이고, S가 아래와 같은 경우를 살펴보자.
i\j | 1 | 2 | 3 | 4 |
1 | 1 | 2 | 3 | |
2 | 4 | 5 | 6 | |
3 | 7 | 1 | 2 | |
4 | 3 | 4 | 5 |
- 스타트 팀: S12 + S21 = 1 + 4 = 5
- 링크 팀: S34 + S43 = 2 + 5 = 7
1, 3번이 스타트 팀, 2, 4번이 링크 팀에 속하면, 두 팀의 능력치는 아래와 같다.
- 스타트 팀: S13 + S31 = 2 + 7 = 9
- 링크 팀: S24 + S42 = 6 + 4 = 10
축구를 재미있게 하기 위해서 스타트 팀의 능력치와 링크 팀의 능력치의 차이를 최소로 하려고 한다. 위의 예제와 같은 경우에는 1, 4번이 스타트 팀, 2, 3번 팀이 링크 팀에 속하면 스타트 팀의 능력치는 6, 링크 팀의 능력치는 6이 되어서 차이가 0이 되고 이 값이 최소이다.
입력
첫째 줄에 N(4 ≤ N ≤ 20, N은 짝수)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S가 주어진다. 각 줄은 N개의 수로 이루어져 있고, i번 줄의 j번째 수는 Sij 이다. Sii는 항상 0이고, 나머지 Sij는 1보다 크거나 같고, 1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스타트 팀과 링크 팀의 능력치의 차이의 최솟값을 출력한다.
접근방식
DFS를 활용하여 조합 문제를 풀어봤다면 어렵지 않게 해결할 수 있다. check 배열을 만들어서 각각 스타트가 사람을 선택했을 때와 선택하지 않았을 때로 나누어 주고 선택한 경우에는 count값을 더해줘서 N/2명일 때에 팀의 능력치를 측정한다. 이때 유의할 점은 i와 j의 조합으로 값을 더해주는 데 더한 값이 두 배가 되기 때문에 다 더한 후에 2로 나눠줘야 한다.
public static void DFS(int num,int count){
if(num >= n || count > n/2) return;
if(count==n/2){
int start = 0,link = 0;
for(int i=0;i<n;i++){
for(int j=0;j<n;j++){
if(check[i]&&check[j]){
start += board[i][j];
start += board[j][i];
}else if(!check[i]&&!check[j]){
link += board[i][j];
link += board[j][i];
}
}
}
start/=2;
link/=2;
min = Math.min(min,Math.abs(start-link));
}else{
check[num] = true;
DFS(num+1,count+1);
check[num] = false;
DFS(num+1,count);
}
}
풀이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int n,min = Integer.MAX_VALUE;
public static int[][] board;
public static boolean[] check;
public static void DFS(int num,int count){
if(num >= n || count > n/2) return;
if(count==n/2){
int start = 0,link = 0;
for(int i=0;i<n;i++){
for(int j=0;j<n;j++){
if(check[i]&&check[j]){
start += board[i][j];
start += board[j][i];
}else if(!check[i]&&!check[j]){
link += board[i][j];
link += board[j][i];
}
}
}
start/=2;
link/=2;
min = Math.min(min,Math.abs(start-link));
}else{
check[num] = true;
DFS(num+1,count+1);
check[num] = false;
DFS(num+1,count);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n = scanner.nextInt();
board = new int[n][n];
check = new boolean[n];
for(int i=0;i<n;i++){
for(int j=0;j<n;j++){
board[i][j] = scanner.nextInt();
}
}
DFS(0,0);
System.out.println(min);
}
}
'알고리즘 > DF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EA 1247] 최적 경로 자바 DFS (0) | 2023.07.09 |
---|---|
[백준 1707] 이분 그래프 자바 (DFS) (0) | 2023.06.21 |
[백준 13023] ABCDE 자바 (DFS) (0) | 2023.06.15 |
[백준 1520] 내리막길 자바 (DFS,DP) (0) | 2023.06.15 |
[백준 1068] 트리 자바 (DFS) (0) | 2023.06.15 |